티스토리 뷰

세금과 같은 문제로 부동산을 공동명의로 하는 사람들이 크게 늘고 있습니다

자동차도 공동명의로 할 수 있다는 것을 알고 계신 분들은 많이 없으실 수 있어요

오늘은 그래서 공동명의 자동차의 장단점을 한번 알아보려고 합니다

과연 어떤 점이 좋은지 어떤 점이 안 좋은지 확인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자동차 공동명의를 하게 되는 첫 번째 이유는 아무래도 자동차보험료이에요

의무보험으로 가입을 해야 되는데 비용이 만만치가 않습니다

나이가 어릴수록 보험료가 올라가기 때문에 공동명의로 하여 한 명만 보험에 가입을 하면 됩니다



요즘에는 45세 이상 특약 등으로 연령이 높으면 자동차보험료를 할인해주는 보험사도 많이 있습니다

이러한 특약을 이용하는 것이 자동차 공동명의의 장점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사고이력이 많아서 공동명의로 신청할 경우 회피로 간주되어 거절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자동차보험뿐만 아니라 의료보험에도 공동명의 장점을 발휘할 수 있습니다

의료보험은 자동차 소유 유무, 배기량, 연식 등에 따라 의료보험료가 올라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직장 가입자인 가족과 공동명의로 등록을 하게 된다면 의료보험료에서도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자동차 구매 시 대부분은 대출을 받게 됩니다

이때 공동명의를 이용하여 신용도가 높은 사람이 낮은 이자로 대출을 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공동명의자가 LPG 차량을 운행할 수 있는 자격이 있다면 LPG자동차를 구매할 수도 있습니다

LPG 차량을 신차로 구매하기 위해서는 국가유공자 또는 장애인으로 등록이 되어 있어야만 합니다



자동차 공동명의는 장점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이제부터는 공동명의로 자동차를 등록할 경우 단점이 어떤 게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교통사고 발생 시 공동으로 책임을 지어야 되는 큰 단점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사고 가해자의 보험료 할증에 따라 공동 명의자의 보험료도 할증이 붙게 됩니다

가입할 때는 저렴하게 가입할 수 있으나 할증이 될 때는 배로 되는 단점이 있습니다



만약 차량을 매매 또는 폐차하게 된다면 그때도 번거로운 단점이 있습니다

공동명의로 된 자동차의 경우 단독으로 매매 또는 폐차 시 공동 명의자의 등본과 인감증명서가 필수 서류가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공동 명의자가 만약 연락이 되지 않을 경우에는 쉽게 자동차를 인계할 수 없는 상황이 됩니다



이러한 단점이 번거롭다는 이유로 단독명의로 변경을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공동명의에서 단독명의로 변경하는 것도 자동차 명의이전이 되기 때문에 취득세와 등록세를 내야 합니다

자동차 공동명의 장단점을 잘 살펴보고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만약 공동명의로 하실 경우에는 가족으로 하시는 것이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다른 사람과 공동명의를 설정할 경우에는 위에서 말씀드린 단점처럼 불편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하시기 바랍니다

더 많은 글 보기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